일반사항
Q 01. 에너지효율향상이란 무엇인가요?
에너지효율이란 에너지의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율을 의미하고,

에너지효율향상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건물과 가정은 냉·난방 기기 및 가전제품 등을 사용 하는데 에너지를 더 적게 사용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산업시설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에너지를 더 적게 사용합니다.
Q 02. EERS는 무슨 뜻인가요?
Energy Efficiency Resources Standard의 약자로, Energy Efficiency는 에너지 효율, Resources는 자원, Standard는 규범 또는 제도를 의미하며, 우리나라에서는‘에너지효율향상의무화제도’로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자원이라 함은 공급자원(화력발전소, 신재생 등)을 말하지만, 수요관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에너지절감 및 부하저감 등성과도 자원으로 인식하여 수요자원이라고 부릅니다.
특히, 수요관리 중에서도 에너지효율사업을 통한 에너지절감 성과를 측정·계량하여 자원화 하는 제도를 EERS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공급자가 에너지효율사업에 의무적으로 투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Q 03. 우리나라는 왜 EERS를 시행해야 하나요?
EERS는 국내 타 에너지원의 균등화발전비용(LCOE)보다 전력절감비용(CSE)이 낮으며, 이행비용 대비 사회적 편익도 높기 때문에 시행해야 합니다.
발전소 수명기간 동안 전력 1kWh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국내발전원별 약 66원~ 132원 소요됨에 반해, 기기 수명기간 동안 EERS를 통해 전력 1kWh 절감하는 데는 약 28원~63원이 소요됩니다.
<국내발전원별 LCOE와 EERS의 전력 절감비용(CSE)비교>
단가 (원/kWh)
국내 발전원별 LCOE | EERS CSE | |||
---|---|---|---|---|
원자력 | 석탄화력 | 가스복합화력 | 태양광 | |
66.20 | 90.67 | 101.43 | 132.6 | 28.1~63.3 |
* 출처 : 발전원별 균등화 발전원가 동향연구(한국전력거래소, 2020) / CSE는 공단 자체 분석
- 균등화 발전비용(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발전기 수명기간 동안 1kWh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된 총비용을 현가화한 값
- 전력 절감비용(Cost of Saving Electricity) 기기 수명기간 동안 1kWh를 절감하기 위해 소요된 총비용을 현가화한 값
또한, 효율향상투자는 사용자 요금절감뿐만 아니라 발전설비 및 송변전설비 등의 공급설비 회피, 공급에너지 감소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저감 등의 사회적 편익이 이행비용보다 약 9.5배 큽니다.
<EERS 이행비용 대비 사회적 편익 규모>
이행비용 규모 (’23~’32년) |
사회적 편익 규모(’23∼’41년) | |||
---|---|---|---|---|
공급설비회피 | 공급에너지회피 | 환경회피 | 합계 | |
100 | 27.9 | 742.4 | 179.4 | 949.7 |
* 적용조건 : 2032년 절감목표(1.0%), 기기수명(10년), 할인율(4.5%), 회피단가(설비회피: 27.19 원/ΔkWh, 에너지회피: 87.483원/ΔkWh, 환경회피: 21.14원/ΔkWh)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관련 국가 주요 계획인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19.6), 제6차 에너지합리화기본계획(20.8),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2),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21.12), 에너지효율 혁신 및 소비행태 개선방안(21.12),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22.7),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효율화 종합 대책(22.6) 등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현재 원활한 제도 도입을 위해 2018 년부터 EERS 시범운영 중입니다.
Q 04. EERS 지원사업에 참여한 에너지사용 고객은 어떤 혜택이 있나요?
고객은 고효율 기기의 구입ㆍ설치비용에 대한 지원금을 통해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효율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사용량이 절감되어 에너지요금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Q 05. 에너지 절감량은 무엇인가요?
에너지효율향상사업을 통해 절감된 에너지량을 말합니다. 가령, 기존에 32W 형광등을 하루 10시간 동안 사용했는데 18W LED 조명으로 교체하였다면 연간 51.1kWh의 전기에너지를 절감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연간에너지절감량 산정 예시
- (교체전 에너지 사용량) = 32W × 10h × 365일/년 = 116.8kWh/년
(교체후 에너지 사용량) = 18W × 10h × 365일/년 = 65.7kWh/년
(에너지절감량) = 116.8 – 65.7 = 51.1kWh/년
* 교체 전후 조명 밝기는 2,500루멘 정도로 유사함
또한, 고효율기기 교체 등의 에너지효율향상사업을 통한 에너지절감량이 기기의 수명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합리적 기기사용 및 유지관리가 필요합니다.
Q 06. 에너지에 대한 단위를 알고 싶어요
- (전기부문) 에너지사용량 및 절감량 단위로 kWh를 주로 사용하며, 1kWh = 860kcal로 환산됩니다.
- (가스부문) 에너지사용량 및 절감량 단위로 Gcal를 주로 사용하며, 천연가스 1kg의 총 발열량은 13,060kcal에 해당합니다.
- (열부문) 에너지사용량 및 절감량 단위로 Gcal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 외 다양한 에너지원의 에너지사용량 또는 절감량 비교를 위해 석유환산톤(TOE, ton of Oil Equivalent)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1TOE = 원유 1톤(Ton)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107kcal)으로 정의
** 1TOE는 연비 14km/ℓ인 승용차로 서울-부산(410km)을 22번 왕복할 수 있는 휘발유 양(1,280ℓ)
<에너지 단위 환산표>
from → to | MWh | MJ | Gcal | TOE |
---|---|---|---|---|
MWh | 1 | 3,601 | 0.860 | 0.086 |
MJ | 0.00028 | 1 | 0.00024 | 0.000024 |
Gcal | 1.2 | 4,187 | 1 | 0.1 |
TOE | 11.63 | 41,868 | 10.0 | 1 |